전문클리닉

척수공동증

전문클리닉 척수공동증
  • 대상질환

    • - 척수공동증 및 연수공동증(Syringomyelia And Syringobulbia)
  • 소개

    척수공동증은 척수내에 액체로 가득 찬 비정상적인 낭종(syrinx)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낭종이 커져 척수를 손상시키고 사지와 몸통의 통증, 사지 운동쇠약, 뻣뻣함(강직) 등의 진행형의 중대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01. 원인
    척수공동증은 여러 가지 가능한 원인이 있지만 많은 경우 소뇌 조직이 척추관으로 돌출된 상태(아놀드-키아리 기형)와 관련이 있습니다.척수공동증의 다른 원인에는 척수 종양, 척수 손상 및 척수 주변의 염증으로 인한 신경손상이 있습니다.
    02. 증상
    척수공동증 증상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진행됩니다. 척수공동증이 소뇌 조직이 척추관으로 돌출되어 발생하는 경우(아놀드-키아리 기형), 증상은 일반적으로 25세에서 50세 사이에 시작됩니다. 어떤 경우에는 기침이나 긴장이 척수공동증의 증상을 유발,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등, 어깨, 팔 또는 다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척수공동증의 징후 및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근육 약화 및 소모(위축)
    • 2 반사 상실
    • 3 통증과 온도에 대한 민감성 상실
    • 4 두통
    • 5 등, 어깨, 팔, 다리의 뻣뻣함
    • 6 목, 팔, 등의 통증
    • 7 척추 만곡(척추 측만증)
    03. 합병증
    일부 환자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척수공동증이 진행되어 신경이 손상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1 척추의 비정상적인 만곡 (측만증)
    • 2 척수 손상으로 인한 극심한 만성 통증
    • 3 걷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리 근육의 약화 및 뻣뻣함과 같은 보행 장애
    • 4 상, 하지 운동 마비
    04. 진단
    의사는 병력에 대해 질문하고 신체 검사를 실시할 것입니다. 어떤 경우에는 다른 이유로 시행한 척추 MRI나 CT 촬영 중에 우연히 척수공동증이 발견될 수도 있습니다. 의사가 척수공동증을 의심하면 다음과 같은 검사를 받게 됩니다.
    • 1 MRI : 척추 MRI는 척수공동증 진단에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2 척추 CT : 종양이나 기타 척추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척수공동증 MRI 사진
    화살표 : 상부 경추 부위 척수 신경내 뇌척수액이 저류되어 있는 척수 공동증이 주변 척수 신경을 압박하고 있음.
    05. 치료
    • 1 척수공동증이 징후나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 : 정기적인 MRI와 신경학적 검사로 모니터링을 하며 증상의 발현, 악화시 치료를 고려합니다.
    • 2 수술 : 삶을 방해하는 징후와 증상을 유발하거나 징후와 증상이 급격히 악화되면 수술이 고려됩니다.
      수술의 목표는 뇌척수액의 정상적인 흐름을 회복하고 공동증에 의해 주변 척수에 가해지는 비정상적인 압력을 제거하는 것으로 증상과 신경계 기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수술 유형은 척수공동증의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06. 수술 후 관리
    척수공동증은 수술 후 재발할 수 있습니다. 수술 결과를 유지, 평가하려면 정기적인 MRI를 포함하여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 참여의료진

    • 김종태 신경외과

    • 최두용 신경외과

  • 진료시간표

    요일
    오전
    • 신경외과
      -김종태
    • 신경외과
      -김종태
      -최두용
    • 신경외과
      -김종태
    오후
    • 신경외과
      -최두용
    • 신경외과
      -최두용